10월22일 토요일 오후 4시.. 선거가 축제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박원순 후보..!! 정치 역사가 새로 쓰여지고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지난 야권후보 단일화 과정에서도.. 장충체육관에서 보여준.. 축제같았던 현장 분위기도 좋은 추억 입니다. 그 이전에.. 지지율 50%의 안철수 교수님이.. 지지율 5%의 박원순 후보에게.. 두말없이 양보를 한 모습도.. 우리 국민들에게는 감동이었습니다... 우리 사회 이야기 2011.10.21
[스크랩] 아동들의 움츠린 어깨에 날개를 달아주세요 출처[희망해] 아동들의 움츠린 어깨에 날개를 달아주세요 선택된이미지 2011.08.22~2011.09.21 555,562원 / 3,600,000(원) 15%달성 기부하기 아동모금 네티즌 와(과) 함께하고 싶습니다. 아동들의 움츠린 어깨에 날개를... 희망지기의 제안 안녕하십니까? 저는 사회복지법인 홍익원에 근무 중인 사회복지사입니다. .. 우리 사회 이야기 2011.10.11
무상급식은 의무교육 입니다.. < 김어준의 뉴욕타임즈 >에서 들은 눈물나는 이야기.. 무상급식 주민투표가 아마도 뚜껑을 열지않고.. 그냥 그렇게 끝날 것 같습ㄴ다. 당연한 일이지요.. 제가 요즘 < 나는 꼼수다 >를 열심히 들으면서.. < 김어준의 뉴욕타임즈 >로까지.. 넘어갔습니다. 그리고, 지난 방송들을 몰아서 듣고 있습니다. ^^ 그 중에서 무상급식 이야기를 오늘 들었는데요.. 우리 사회 이야기 2011.08.24
오늘.. 김대중 대통령 서거 2주기.. 이희호 여사와 권양숙 여사, 그리고 문재인 이사장.. 오늘이 우리나라 역사상 가장 위대했던 대통령인 김대중 대통령의 서거 2주기 입니다. 물론, 제가 가장 사랑하는 대통령은.. 국민의 가장 큰 사랑을 받은 대통령은 노무현 대통령 입니다. 김대중 대통령이.. 평화의 시대를 열면서 국가의 기둥을 세우고, IT산업과 대중문화산업의 지원을 통해.. 우리 경.. 우리 사회 이야기 2011.08.18
"나는 꼼수다".. 세계 1위 기념.. "이 방송이 나의 우울증을 날려버렸다...!!" 시계가 멎었다. 머리 속 시계가 멎었다. 2009년5월23일.. 이날을 기점으로.. 머리 속 시계는 멈춰있는 듯 하다. 그날 이후.. 억울한 마음에.. 별 일 도 아닌데.. 눈물 이다. 특히, 정치 관련.. 노무현 대통령 관련.. 현 정권 관련.. 뭐.. 이런 일에 있어서.. 쉽게 화내고.. 쉽게 울고.. 이런 내가 아닌데.. 믿을 수 .. 우리 사회 이야기 2011.08.17
문재인의 "운명"을 읽고..(2).. "나는 꼼수다"를 추천합니다. 문재인의 "운명"을 읽고.. 초반에는 정신없이 재밌다가.. 조금 우울해 집니다. 처음에는 마치 소설처럼.. 술술 읽혀내려갑니다. 노무현 대통령의 서거일.. 문재인의 어린시절 이야기.. 학생운동시절 이야기.. 부인을 만나고 결혼한 이야기..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읽을만 합니다. 그리고, 참여정부 시절을 .. 우리 사회 이야기 2011.08.11
문재인의 "운명"을 읽고..(1) - 의외로 발견한 그와 나의 공통점.. ㅋㅋㅋ 문재인의 "운명"은 굉장히.. 쉽고 재밌는 책이다. - 이하, 존칭 생략.. 문재인씨..?? 문재인 이사장..?? 뭔가.. 적절한 존칭이 떠오르지 않아서.. ㅠㅠ 문재인 예비 대통령..?? 이것도.. 너무 앞서가는 것 같고.. --;; 여튼.. 다른 책들은.. 읽겠다는 의지를 조금 내야만 손이 가는데.. 조국 교수의 "진보집권플랜.. 우리 사회 이야기 2011.08.03
서바이벌 프로그램, 마음을 움직이는 것이 ‘생존’이다 요즘 우리나라 방송 프로그램에서 가장 눈에 띄는 형식이라고 하면, 아마도 서바이벌 예능 버라이어티쇼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케이블TV인 m.net의 ‘슈퍼스타 K’의 놀라운 성공을 시작으로 하여, 지상파TV인 MBC에는 ‘위대한 탄생’과 ‘나는 가수다’, ‘댄싱 위드 더 스타’가 있구.. 우리 사회 이야기 2011.07.19
제2의 뽀로로를 기대하며.. 새로운 시대의 도전이 시작되었다. 요즘 해외여행을 하다보면 정말 가슴 뿌듯한 일이 많습니다. 세계 곳곳에 우리나라의 전자제품과 자동차를 흔히 발견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아시아의 주요 도심에는 우리나라 연예인들의 사진이 가장 큰 건물에 걸려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더 이상 동방의 작은 나라가 아니라, 세계적으로 가장 우.. 우리 사회 이야기 2011.07.19
대학이 많아진 것이.. 과연 문제일까요..?? 배운다는 것은.. 사실.. 내가 알고 있는 상식이 틀릴 수도 있다고 의심하는 것을 뜻한다고 생각한다. 예를 들어.. 언론학을 공부한 사람들은.. TV뉴스와 신문보도가 100% 진실을 이야기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다. 6살 아이에게.. TV와 신문에서 나오는 것은 일단.. 거짓말이라고 생각하고 보라..고 한다.. 우리 사회 이야기 2011.07.15